매교동치과, 가끔 어금니욱신거려요 금간치아 어금니크랙은 신경치료를 해야합니다.

금간어금니 치료는 뺄지말지부터 결정해야합니다.

매교동치과

24.03.25(초진) – 47y 우OO님

안녕하세요! 매교동치과 바른본치과의원
대표원장 백승우입니다.

치과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이
호소하시는 증상중에
” 욱신거려요” 라고 말씀하실때
치과의사로써 상당히 당황스럽습니다.

잇몸이 안좋아도,
충치가 심해도,
치아에 금이가도,
욱신거리는 증상이 생길 수 있기때문입니다.

매교동치과 바른본치과의원
오늘의 포스팅은
자연치아살리기이고
어금니크랙으로 신경치료를 통해
욱신거리는 증상없이 식사생활을 할 수 있게 된
진료내용을 소개해드립니다.

또한 포스팅 중간중간
언제 치과치료가 필요한지에 대한
치과상식도 첨부했으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거에요.
5분이면 충분합니다 !!

 

24.03.25(초진) – 47y 우OO님

” 가끔 어금니욱신거려요. 시린거 같기도하고
잘 모르겠는데 불편합니다. “ 라고 말씀하시며
매교동치과로 내원하신 환자분의 x-ray 사진입니다.
빨강색동그라미가 가리키는 어금니인데요
이미 치료받은 흔적이 있습니다.

 

24.03.25(초진) – 47y 우OO님

입안사진입니다. 예전에 골드인레이 치료가
되어 있는 어금니 인데요,
노랑색화살표 끝을 잘 보시면 치아 내부가
까맣게 보이는것이, 보철물 밑으로 2차우식이
진행된 것 같습니다.

 

치과상식 1

검게 보인다고 무조건 재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보철물 밑으로 충치가 생긴것 이지만
진행중이 아니거나, 증상이 없으면
당장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24.03.25(초진) – 47y 우OO님

가만히 있어도 어금니욱신 증상이 있고,
찬물에도 시린증상이 있다고 하셨는데
어금니크랙 혹은 금간치아인 경우에도
그런 증상이 생길 수 있어
골드인레이 보철물을 뜯고 치아 내부를
봐야한다고 설명을 드렸습니다.

위 사진은 골드인레이를 제거 한 뒤 촬영한
사진인데요,
치아 내부에 ‘ 아말감 ‘ 성분이 들어간 재료가
들어가 있습니다.
아마도 처음 치료시
충치가 깊어서 충치를 다 제거하고
아말감 성분의 재료로 그 부분을 채운뒤에
골드인레이로 마무리를 한것 같습니다.

 

24.03.25(초진) – 47y 우OO님

그런데… 노랑색화살표 끝을 잘 보시면
치아 내부에 금이 보입니다.
어금니크랙이죠.

이전 포스팅에서도 소개를 해 드린적이 있는데
치과에서 오래전에 사용했던
아말감이라는 재료
혹은 골드인레이 같은 금속수복물
치료를 한뒤
세월이 흐르면
이렇게 치아에 금이 가는 경우가
생길수 있습니다.

 

24.03.25(초진) – 47y 우OO님

다른방향에서 볼까요?
노랑색화살표 끝을 따라
금간치아가 확실하게
관찰됩니다.

이 금이
치아의 머리 윗쪽에 멈춰있느냐
아니면 아래쪽까지 진행이 됬느냐에 따라
치아를 살려쓰느냐
발치를 하느냐
결정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치과상식 2

치아의 구조를 보면
치아의 머리와 뿌리가 만나는 지점이 있는데
치의학 용어로 CEJ라고 합니다.
(Cemento-Enamel Junction)
치아에 생긴 금이 이 선을 기준으로
뿌리까지 내려가면 발치
치아 머리에 멈춰있느면 발치없이
자연치아 살려쓰기
이렇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4.04.01(신경치료) – 47y 우OO님

크랙라인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어금니신경치료를 하듯이 치아에 구멍을 내고
치아머리쪽에서 발견된 어금니크랙이
치아 바닥까지 내려갔나 확인을 합니다.
면밀히 검사를 한뒤
금간어금니의 크랙라인이
치아 머리 부분에 한정된 것으로 판단을 했습니다.

 

<매교동치과 자연치아살리기 프로토콜>

매교동치과 자연치아살리기 프로토콜에 따라
금간치아의 크랙라인이
치아머리 부분에 한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신경치료 및 크라운치료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4.03.25(초진) – 47y 우OO님

어금니 신경치료 중간에 촬영한 x-ray 인데
오랫동안 치아내부에 자극이 가해진경우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져
신경치료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이 환자분도 좁아진 신경관으로
신경치료를 할때 사용하는 기구가
뿌리아래쪽까지 진전되지 않아
고생을 좀 많이 한 경우입니다.

 

24.04.18(신경치료) – 47y 우OO님

금간어금니의 치료를 위해
면밀한 진단과정 및 어금니신경치료를 하고
촬영한 x-ray 사진입니다.

너무 아픈 증상이 있으면 차라리 진단이 쉬울텐데
‘가끔’ 욱신거리는 증상이
생활을 힘들게 하고
‘가끔’ 시린증상이
진단과 치료를 더 어렵게 합니다.

 

24.03.25(초진) / 24.05.08(치료 후) – 47y 우OO님

매교동치과에서 치료전과 보철치료까지 진행하고
촬영한 사진입니다.
시린증상 및 욱신거리는 증상은 모두 해결이 됬고
식사도 정말 편해졌다고 말씀하셨네요 ^^

 

금간치아, 어금니크랙, 금간어금니
치료는 정말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된 문헌을 계속 업데이트하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데로
치아의 아랫방향으로 넓어지는 모양의
금속수복물,
특히 치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아말감이라고 부른 재료의 경우

 



세월이 흐름에 따라 치아에 미세한 금을
만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하기 때문에
치아에 아말감 치료가 되어있고
해당치아에 뭔가 증상이 있는경우
어금니크랙을 일단 의심해볼수 있습니다.

 

금간치아, 어금니크랙은
턱관절 질환과 마찬가지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노력을 해야합니다.

이를 꽉무는 습관, 이갈이,
땅콩같은 딱딱한 음식을 먹는 습관은
어금니에 미세한 금을 만드는 기여요인이니
줄일 수 있다면 줄여야 합니다.

<원문은 하단링크 클릭>

www.ncbi.nlm.nih.gov


매교동치과, 가끔 어금니욱신거려요 금간치아 어금니크랙은 신경치료를 해야합니다.
금간어금니 치료는 뺄지말지부터 결정해야합니다.
포스팅 잘 보셨나요?

 

위에 보이는 일러스트처럼
금이 명확하게 보이고 그 금이
치아 뿌리 까지 내려갔는지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경우는 정말정말 드뭅니다.
그래서
금간치아, 어금니크랙치료가
진단도 어렵고 치료도 어렵습니다.

오죽하면
Crack Tooth Syndrome이란 말을 붙였겠어요.
(여러 의학 용어중에 syndrome이란 말이 붙으면
처음 발견 당시 뭐가 뭔지 잘 몰라서
치료가 까다로운 경우 이런 용어를
붙인다고 합니다. )

매교동치과 바른본치과의원에서는
자연치아살리기에 진심입니다.
임플란트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해도 충분합니다.

감사합니다 !!!


* 모든 증례 사진은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당사자의 동의하에 업로드가 진행되었습니다.

* 게시글에 첨부된 치료 사진은 모두 본.원에서 치료한 환.자분의 사진입니다.

* 게시글에 첨부된 치료 전/후 사진은 동일인의 사진이며, 동일조건에서 촬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