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궁동치과 넘어짐 사고로 입술상처 치아흔들림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24.01.29 – 9y 김OO님

안녕하세요! 행궁동치과 바른본치과의원

대표원장 백승우입니다.

 

오늘은 일상생활중에 흔히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글을 써볼까 합니다.

넘어짐 사고입술상처가 생기거나

심한경우 치아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는 굉장히 많습니다.

 

소비자24에서 발행한 최근 5년간 발생한

자료를 보면 소아청소년시기에는 실외보다는

압도적으로 실내에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로 소아청소년시기의

아이들이 집 밖보다는 집 안에 있는 시간이

훨씬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행궁동치과 치아외상 글을 통해

입술상처, 치아흔들림 사고가 발생했을때

어떻게 치료를 해야하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분만 집중하시면!!

정말 도움이 많이 되실거에요!!

24.01.29 – 9y 김OO님

행궁동치과에서 정기검진 및 교정치료 시작시기를

고려중인 9세 아이로,

넘어짐 사고를 당해 입술상처가 나고,

아래 앞니 치아가 흔들린다주소로 내원했습니다.

빨강색동그라미 치아들은 모두 영구치로

치아외상으로 다친 경우

반드시 살려써야하는 소중한 치아들 입니다.

[참고 글]

https://blog.naver.com/bswbsw00/223072599627

24.01.29 – 9y 김OO님

먼저 넘어지면서 부딪힌 입술 부위를 볼까요?

 

노랑색화살표를 보면 아랫입술에

멍이 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질 때 통증이 조금 있었구요.

 

24.01.29 – 9y 김OO님

입술 안쪽입니다.

 

노랑색화살표를 쭉 보시면

하얀자국이 보이는데, 넘어짐 사고가 발생하면서

치아에 부딪혀 생긴 입술상처 입니다.

조금만 강하게 부딪혔어도

입술안쪽이 찢어졌을텐데 다행히

찢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넘어짐 사고가 발생하면서

다행히 입술상처는 크지 않았지만

아래치아 두번째 앞니두드렸을때 통증이 있고

치아흔들림의 정도도 주변치아보다 조금더 흔들리는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24.01.29 – 9y 김OO님

행궁동치과로 내원당시 촬영한 x-ray 사진으로

다행히 치아파절이나, 치근파절 혹은

잇몸뼈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24.01.29 – 9y 김OO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아래 두번째 앞니의

아탈구로 진단하였습니다. (Subluxation of tooth)

아탈구의 경우 치아뿔와 잇몸뼈를 이어주는

치주인대의 손상이 동반되며

아주 심한 경우 치아에 영양을 공급하는

신경과 혈관이 차단되어

치수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탈구로 진단한 치아의 고정을 위해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을 통해

(Resin wire splinting, 잠간고정술)

주변치아들과 함께 묶어 치아흔들림을 줄여주고,

안정화 기간을 갖기로 했습니다.

24.02.13 – 9y 김OO님

넘어짐사고 발생 후

임술상처와 치아흔들림으로 내원했던 학생의

치아고정술을 시행하고

2주후 경과관찰시 촬영한 x-ray 사진입니다.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고,

두드렸을 때 통증도 사라져서

신경치료 등 추가 치료 없이

고정했던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도 제거 했습니다.

앞으로도 행궁동치과에서

남은 유치들의 발치 및 교정치료 시작시기 타진,

그리고

다친치아의 지속적인 관리를 할 예정입니다.

 

🚨 치아는 다치지 않아도 원래 흔들리는 정도가 있습니다. (생리적 동요도)

치아의 뿌리는 잇몸뼈와 바로 붙어있는게 아니고,

뿌리-인대-잇몸뼈 이런식으로

연결이 되어있어있습니다.

따라서 치아들은

넘어짐사고나, 큰 외상을 당하지 않더라도

약간의 흔들림이 언제나 존재하고,

이를 치아의 생리적 동요도라고 합니다.

0.1~0.5mm정도의 흔들림이라고 하는데..

환자분들 입장에서는 어느정도 흔들리는 것이

생리적동요도이고,

어느정도나 흔들려야 외상에 의한 치아흔들림인지

구별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 잇몸뼈의 상태에 따라 치아흔들림의 정도도 달라져서 풍부한 경험이 필요합니다.

성인의 경우 연령이 증가하면서

잇몸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있고,

치아 뿌리를 담고 있는 잇몸뼈의 높이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아를 밀었을때 흔들리는 정도는

넘어짐사고가 없다 하더라도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넘어짐사고 혹은 외상에 의한

치아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리적동요도와

정말 다쳐서 흔들리는 것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행궁동치과, 넘어짐 사고 후

입술상처와 치아흔들림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치료와 치아의 생리적 동요도에 관한 글,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얼굴 및 입안 외상치료는

임상경험이 정말 중요합니다.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에서

수년간 근무했던 경력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해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 글]

https://blog.naver.com/bswbsw00/223108511583


* 모든 증례 사진은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당사자의 동의하에 업로드가 진행되었습니다.

* 게시글에 첨부된 치료 사진은 모두 본.원에서 치료한 환.자분의 사진입니다.

* 게시글에 첨부된 치료 전/후 사진은 동일인의 사진이며, 동일조건에서 촬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