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교역치과, 치아낭종 치아물혹제거 치근단절제술과 임플란트 수술을 한번에 !!
조직검사는 필수입니다.
안녕하세요! 매교역치과 바른본치과의원
대표원장 백승우입니다.
오늘은 오래된 보철물을 바꾸고 싶어서
내원하셨다가,
치아낭종을 발견하고 수술을 하게된
환자분의 이야기를 들려드려고 합니다.
치과검진은 이래서 정말 중요한것 같습니다.
단순히 양치질을 못해서 잇몸이 부은 줄만
알고 계셨는데
치아물혹을 제때 발견할 수 있었으니까요.
매교역치과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23.07.22(초진) – 65y 박OO님
” 왼쪽 위에 보철한지 오래 됬는데,
바꾸고 싶어서 왔어요 “ 라고 말씀하시며
내원하신 환자분의 x-ray 사진입니다.
빨강색동그라미 부위인데요,
자세히 보면 송곳니 뿌리 끝이 심상치 않습니다.
23.07.22(초진) – 65y 박OO님
매교역치과에서 촬영한 입안사진입니다.
노랑색화살표를 보니 송곳니 뿌리 쪽에
누공이 생겼습니다.
누공(Fistula) : 출처 – 구글링
누공은 뿌리끝에 생긴 염증 혹은 낭종에 의해
잇몸뼈 안쪽의 고름이 잇몸밖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말합니다.
이 누공을 환자분께서는 단순히
양치질을 잘 못해서
잇몸이 부은줄 알고 계셨습니다.
23.07.22(초진) – 65y 박OO님
매교역치과에 내원하신 환자분께서
말씀하신 오래된 브릿지 보철물입니다.
노랑색화살표가 송곳니,
빨강색화살표가 두번째 작은 어금니로
수십년전 치료를 받았던 보철물인 만큼
세월의 흔적이 관찰됩니다.
23.07.22(초진) – 65y 박OO님
뿌리끝염증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촬영한 CT 사진입니다.
송곳니의 뿌리끝이 동그란 모양으로
검정색으로 보이는데
바로 치아낭종입니다.
(노랑색화살표)
23.07.22(초진) – 65y 박OO님
송곳니에서 생긴 치아물혹이 뒷쪽
첫번째 작은 어금니 자리까지 커져서
잇몸뼈의 결손을 만들어 냈습니다.
빨강색점선이 마치 뒤집어 놓은
물음표같은데, 바깥쪽 잇몸뼈가
심하게 결손된 상태입니다.
매교역치과로 오래된 보철물 제거를 위해
내원하신 환자분께는
치아물혹제거 수술,
감염된 뿌리를 잘라내는 치근단절제술,
그리고 잇몸뼈 결손부위에는
뼈이식을 동반한 임플란트 수술이
필요함을 설명드렸습니다.
환자분께서도 어차피 보철물을 바꾸려고 했었는데
좋지 않은 것을 발견했으니
하루 빨리 치료를 해달라고 하셨습니다.
단, 이 환자분은
골다공증 약을 장기간 복용하셨던 분으로
바른본치과의원의
약물관련골괴사 예방 프로토콜에 따라
의과와 협진을 통해
골다공증약을 3개월간 중단을 하고
수술적 치료를 하기로 했습니다.
<참고 포스팅>
https://blog.naver.com/bswbsw00/223231240474
23.08.08(신경치료) – 65y 박OO님
먼저 치아낭종 치아물혹의 원인이 되었던
송곳니의 신경치료를 1회로 완료 했습니다.
골다공증약을 2년이상 장기복용한 경우
발치, 임플란트 등의 수술은
약을 중단하고 얼마의 기간 후 진행을 해야하지만
미리 신경치료를 해서
치아낭종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23.07.22(초진) / 23.09.13 – 65y 박OO님
골다공증약을 중단 하는 기간 동안
송곳니의 신경치료 및 크라운치료,
두번째 작은 어금니의 오래된 보철물을
새로 바꾸는 크라운치료까지 완료했습니다.
자, 이제 매교역치과에서
치아낭종 치아물혹제거 치근단절제술과 임플란트 수술을 어떻게 했는지,
그리고 조직검사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지
영화보듯이 쓱~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국소마취 후 수술부위에 절개를 합니다.
물혹제거 낭종제거 수술을 할때는
혈류공급이 중요하기 때문에 절개도 잇몸뼈 위쪽으로
넓어지도록, 원칙을 지켜 수술을 해야 합니다.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잇몸을 절개하고, 박리를 하는데
송곳니 뿌리 부분에 도달하자
포스팅 초반에 말씀드렸던
누공(Fistula)에 의한
유착 부위가 관찰됩니다.
(노랑색동그라미)
이렇게 유착이 되면 잇몸 박리가 어려워
잇몸살이 찢어질수 있으므로
굉장히 조심히 박리를 해야합니다.
사진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완전히 박리하고 촬영한 사진입니다.
신경치료를 통해 염증을 좀 줄여 놓은 상태지만
치아물혹 치아낭종의 크기는
여전히 큰 상태 입니다.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송곳니의 뿌리는 상당히 길기 때문에
낭종의 제거가 어려워,
먼저 치근단절제술을 시행합니다.
(파랑색화살표)
치근단절제술은 감염이 된 뿌리 끝을 잘라
감염원을 제거하는 술식으로
치아낭종, 치아물혹 제거시 반드시 해야하는
과정입니다.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치근단절제술을 시행하고
예리한 기구를 이용하여 치아물혹
치아낭종을 적출하고 촬영한 사진입니다.
(연두색화살표)
동굴같이 파인 잇몸뼈가 관찰됩니다.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치아물혹을 제거 한 뒤에,
잘라낸 송곳니 뿌리에 MTA라고 부르는
신경치료 마무리 재료를 사용해서
뿌리끝을 완전히 밀봉해야합니다.
신경치료 그리고 치근단낭종은
감염과의 싸움이기 때문에
치아 머리쪽, 치아 뿌리쪽에서의
2차감염을 막기 위해 반드시
잘라낸 뿌리끝을 MTA로 막아주어야합니다.
(MTA 역충전, Retrofilling)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물혹이 제거된 부위와
송곳니 뒤쪽 빈자리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뼈이식을 합니다
치아낭종으로 잇몸뼈가 결손된 자리에
임플란트를 식립했기 때문에
뼈이식을 통해
결손된 잇몸뼈를 회복해 주어야 합니다.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이식한 뼈이식재료의 고정을 위해
담요와 같은 역할을 하는
차폐막(Membrane)을 덮은뒤
봉합을 하고 수술을 마무리 합니다.
매교역치과 바른본치과의원에서는
양성종양 제거 수술시
반드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병리과에
조직검사를 의뢰하여 최종판정을
받고 있습니다.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송곳니가 원인이 되어 생긴
긴 여정이 끝이 났습니다.
송곳니의 신경치료, 치근단절제술
치아낭종적출, 뼈이식
그리고 잇몸뼈 결손부위의 임플란트까지.
환자분께서 잘 도와주셔서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잘 진행되었던 것 같습니다.
23.07.22(초진) /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매교역치과에서 촬영한 수술 전 후
CT 사진입니다.
수술전 뿌리끝에던 치아물혹은
치근단절제술, 낭종제거, 뼈이식을 통해
회복이 되었고
23.07.22(초진) / 23.11.13(임플란트 식립) – 65y 박OO님
송곳니 뒷쪽으로 치아물혹에 의해 생긴
치조골결손 부위는
뼈이식을 통해 결손부위를 해결하고
임플란트까지 식립이되었습니다.
23.07.22/ 23.09.13 / 23.11.13 / 24.02.22 – 65y 박OO님
매교역치과에서 초진부터 치료완료까지 촬영한
x-ray 사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확한 진단,
1회신경치료,
골다공증약 중단,
치근단절제술,
치아낭종, 치아물혹제거
조직검사 의뢰,
뼈이식,
임플란트 수술.
모든 단계마다 정해진 프로토콜을 따라
최선을 다해 진료를 했기 때문에
결과도 좋았던 것 같습니다. ^^
매교역치과, 치아낭종 치아물혹제거 치근단절제술과 임플란트 수술을 한번에 !! 조직검사는 필수입니다.
포스팅 잘 보셨나요?
요즘 바른본치과의원으로
입안수술을 위해 내원하신 환자분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대학병원 진료대기가 1년이 넘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에는 대학병원 진료를
봐야 하지만
(예를 들면 전신마취하 필요한 수술)
바른본치과의원에 한번 내원해보세요!
정확한 진단과,
안전을 위해 정해진 엄격한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수술적 치료를 도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 모든 증례 사진은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당사자의 동의하에 업로드가 진행되었습니다.
* 게시글에 첨부된 치료 사진은 모두 본.원에서 치료한 환.자분의 사진입니다.
* 게시글에 첨부된 치료 전/후 사진은 동일인의 사진이며, 동일조건에서 촬영하였습니다.